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재일제주인을 통해서 보는 제주와 일본 관계의 역사

2020/11/5
‘제주와 일본의 깊은 인연’은 2020년 4월부터 2022년 7월까지, 2년 4개월 동안 제주에서 근무한 이세끼 요시야스 전 총영사가 제주의 다양한 장소와 많은 분들을 직접 만나며, 제주도민 여러분의 도움으로 연재 기사로 정리한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제주와 일본의 깊은 관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와 일본의 깊은 인연’의 기사 내용은 연재 당시의 것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3

 이세끼 요시야스 총영사는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를 방문해 센터장인 임화순 교수 등으로부터 설명을 들었습니다.
 

제주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제주와 일본의 깊은 관계

 제주에 살다 보면, 제주에서는 한국 본토와 비교해도 일본에 특별한 애착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다는 점, 그리고 섬 곳곳, 거의 모든 마을에 재일제주인 분들의 고향에 대한 공헌을 기리는 공덕비가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실감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제주의 여러분께 질문을 드리면, 매번 거의 똑같이,

• 식민지 시대에는 오사카(大阪)와 직항 배편이 있었고, 많은 제주인들이 일본으로 도항하면서 여러 문물이 제주로 들어왔다는 점
• 제주 4·3이 발생했을 때에도 많은 제주인이 일본으로 피난한 점
• 그 결과 제주의 대부분의 분들이 일본에 친척이 있다는 점
• 그리고 재일제주인 여러분이 제주가 어렵고 힘들었던 시절에 고향에 많은 지원을 하였고, 이것이 제주 발전의 큰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

 등등의 역사를 가르쳐 주십니다. 제주의 많은 분들이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의 밑바탕에는 이러한 재일제주인 여러분의 존재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재일제주인센터는 ‘재일 제주인의 고향 제주에 대한 애정과 헌신을 기리고 재일제주인을 비롯한 재외동포 연구기관으로 2011년 설립’되었다고 합니다. 센터 건물도 재일제주인의 기부로 세워진 것이라고 합니다.

 학술적 관점에서도 재일제주인이 많이 살고 있는 오사카시 이쿠노구(生野区)에는 제주에서는 사라져 버린 제주 사투리가 오히려 더 많이 남아 있어서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고 합니다. 재일제주인이 많이 살고 있는 도쿄도(東京都) 아라카와구(荒川区)와 제주시는 행정기관간 자매결연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재일제주인 중에서 고령화 등으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도 있어, 제주 발전에 대한 은혜를 갚는다는 의미로도, 제주로부터 이러한 분들을 지원하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합니다.

 센터를 방문하여 제주의 여러분이 재일제주인의 존재를 지금까지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새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방문 관련 사진

1
 △전시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2
△1923년부터 1945년까지 제주와 오사카 사이에서 운항되었던 '기미가요마루(君が代丸)' 호의 전시입니다.

3
△임화순 센터장과 대낮부터 갈비집에서 한 잔…이 아니라 오사카 재일제주인의 삶을 재현한 전시입니다.

4
△센터에서는 제주 곳곳에 존재하는 재일제주인의 고향에 대한 공헌을 기린 공덕비를 거의 전수 조사하여 책으로 편찬하였습니다. 제주에 있으면 거의 모든 마을에 이런 공덕비가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는데, 총 네 권의 책의 볼륨을 보면 새삼 그 수가 많다는 것에 놀라게 됩니다.
 

관련기사

・【칼럼】이바라키현 가시마시의 초등학생에 의한 도쿄 올림픽 남자 축구 한국 대표팀 응원으로 이어진 서귀포시와의 자매도시 관계~서귀포에는 ‘한일 우호 친선 매화공원’도 있습니다!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98.html

・제주 먹거리 vol.4 전복~도쿄 시부야 한식당의 뿌리 ‘오조리’에서 찾은 제주와 일본의 인연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93.html

・국가등록문화재 ‘구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일본에서 배운 한국 최고의 ‘나비박사’이면서 제주 연구의 선구자가 초대 소장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62.html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해양과학분야에서의 제주와 일본 교류의 역사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62.html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오키나와∙규슈 등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 촬영 항공사진 소장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161.html
 
・[칼럼] 제주의 높은 교육수준에 한 번, 그 이유를 듣고 또 한 번 놀랐습니다.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00.html

・[칼럼] 2025년 오사카·간사이 만국박람회 개최 정식 결정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와 재일제주인~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159.html

・소암기념관~일본에서 배운 제주의 서예의 대가 현중화 선생님의 발자국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43.html

・기당미술관~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일본과 인연이 깊은 한국 최초의 공립미술관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174.html

・[칼럼]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제주의 스포츠라고 한다면 골프! 일본과의 인연을 찾아봤습니다!
https://www.jeju.kr.emb-japan.go.jp/itpr_ko/11_000001_00284.html